보통 바이러스는 차고 건조한 환경에서 활발해집니다.
차고 건조한 환경에서 기관지가 수축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호흡기 환자들이 여름철보다 겨울철이 되면 호흡 곤란이 더 악화됩니다.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게 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 등의 증상으로 심하지 않고 특정 치료가 없어도 1주일 정도면 좋아집니다.
하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인 독감은 유행 기간이 11월부터 2월까지입니다.
예방 접종 후에 항체가 만들어지는 시기는 대략 2-3주 이며, 항체의 지속 기간인 5-6개월을
고려하여 9월 말쯤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예방주사를 맞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노약자의 경우에는 12월이나 1월이라도 맞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을 폐렴이라고 합니다.
폐렴 증상은 보통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등의 호흡기의 증상을 보입니다.
기침을 하면서 더욱 심해지는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또한 나타납니다.
그 외에도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증상이 동반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항균제를 포함한 적극적인 약물의 치료를 통해 호전이 됩니다.
하지만 노인이나 만성 질환자,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 등은 악화 되다 사망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폐렴은 폐렴구균이라는 균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전체의 20-30% 이상입니다.
폐렴구균 예방주로 어느 정도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 주사는 연중 어느 시기에 접종이 가능합니다.
천식은 기관지의 만성적인 염증 반응이 특징적입니다.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다른 알레르기가 동반하거나
이미 밝혀진 알레르기 원인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인기에 발생한 경우는 특정 알레르기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흔히 감기,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 등에 의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지곤 합니다.
심한 기침을 하며 숨이 차는 증상이 악화가 됩니다.
호흡곤란, 기침, 천명 등이 반복적이고 발작적으로 발생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항균제, 소염진통제 복용을 하거나 달리기 같은 운동 후에 갑자기 심해지기도 합니다.
계절성 알레르기의 경우 특정 계절에 따라 증상이 악화가 됩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은 흡연, 대기오염, 직업적 노출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극으로 폐포와 기관지에 만성 염증이 진행 되면서 만성 기침, 가래, 운동시 호흡곤란 등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비염은 알레르기 원인이 있거나 특정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 됩니다.
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코막힘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동반하는 비점막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염증으로 인해 비점막의 신경이 노출되면서 발작적인 재채기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후각소실이나 후각감퇴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증상의 지속기간 및 반복 정도, 중증도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호흡기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실내 온도는 20-22도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습도는 50-60%로 유지해야 합니다.
건조하면 되면, 기침이 심해지게 됩니다.
습도가 너무 높으면 대기 중에 세균과 진드기가 번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습기를 틀거나 빨래를 널어 적절한 실내습도를 유지와 환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감기나 독감의 유행 시에는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고 외출 전후에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밖에서 찬 공기를 마시며 운동하는 것 보다는 실내에서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침과 저녁에는 체온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옷을 입어주는 걸 권장드립니다.
따뜻한 물과 차를 충분히 마셔서 수분을 보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호흡기에 좋은 음식을 소개 해드릴게요.
- 녹두
녹두의 성질은 차고, 열을 내리고 부은 것을 가라앉힙니다.
베개에 넣고 자게 되면 눈을 밝게 하고 신경성 두통을 치료 해줍니다.
갈아서 끊인 즙을 마시면 부종을 없애주며 기력을 보충합니다.
성질이 차기 때문에 소화기가 약한 사람은 과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꿀
꿀은 열을 내리고, 몸의 독성을 해독하고, 촉촉하게 합니다.
기침 억제 성분인 덱스트로메토판보다 소량의 꿀이 기침 증상과 빈도를 완화 시켜줍니다.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시거나 자주 마시는 차에 섞어 마시는 것도 좋습니다.
녹차에 넣으면 혈액 순환에도 좋으며 허브차에 넣으면 두통을 진정 시켜줍니다.
- 도라지
한방에서 길경이라 부르는 도라지는 성질이 따뜻하며 맛이 맵습니다.
본초강목에는 폐기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하고 기를 내리며 목구멍이 아픈 것을 낫게 합니다.
도라지의 사포닌은 목 안과 위의 점막을 자극해 반사적으로 기관지 분비선의 분비를 항진 시켜줍니다.
- 귤피
귤피는 잘 익은 귤의 껍질을 햇볕에 말려 쓰는 것입니다.
귤피를 하루 4-12g 달여서 약으로 먹게 되면, 입맛이 없고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는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가래가 많을 때에 좋고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결핵 등에도 좋습니다.
귤피, 살구씨, 오미자 등을 함께 달여 먹어도 좋습니다.
- 은행
은행에는 펙틴, 히스티딘, 녹말, 단백질, 지방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 환자가 먹으면 좋습니다.
오랫동안 먹게 되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서서히 사라지게 됩니다.
은행은 호흡 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소멸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 생강
생강 물에 씻은 후 약한 불에 구워 쓰는 것이 좋습니다.
생강은 신진대사를 촉진해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에 좋습니다.
생강은 따뜻하나 생강 껍질이 차기 때문에 뜨겁게 하려면 껍질을 버리고, 차게 하려면 껍질째 써야 합니다.
한 번에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생강과 파의 흰 뿌리를 함께 달여 먹으면 감기가 빨리 낫게 해줍니다.
- 양파 껍질
양파 껍질에 들어 있는 케르세틴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강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기관지에 좋습니다.
양파 껍질은 물에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물에 넣고 끓여줍니다.
물 2.5L에 양파 2~3개분의 껍질이면 충분하며, 말린 양파 껍질을 다관에 넣고 우려 마셔도 좋습니다.
호흡기가 안 좋으신 분들은 예방 할 수 있는 음식들을 자주 드셔서 건강 챙겨주세요.
'건강관리 > 음식과 효능 - 건강식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효능)1월제철음식 ; 대방어효능^-^ (0) | 2021.04.22 |
---|---|
로열젤리의 효능 염증방지 음식 (0) | 2020.12.07 |
면역력 저하 증상과 원인 , 면역력을 낮추는 습관은? (0) | 2020.12.02 |
채소 종류 , 몸에 좋은 채소 추천 (0) | 2020.12.02 |
지방간 증상과 지방간 없애는 방법 지방간 치료법 (0) | 2020.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