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질병과 케어

정전기 없애는 방법 겨울철 정전기

알 수 없는 사용자 2020. 11. 16.

요즘 날씨가 추워지고 건조해지면서 찌릿찌릿 여기저기서 정전기 나는걸 느껴져요.

정전기는 물체 위에 정지를 하고 있는 전기이며, 찌릿 거리는 이유는 마찰이 발생해서 입니다.

 

 

물체는 원자와 그걸 둘러싼 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로 맞닿으면서 전자를 주고 받고 전기가 저장이 됩니다.

그러다 어느 한도 이상으로 전기가 쌓이게 되고 유도 되는 물체에 닿을 때

순신간에 전기가 이동하면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겨울철 발생하는 정전기 예방없애는 방법을 소개 해드려볼까 해요.

 

 

- 습도 높이기

 

우선 건조하게 될 경우 공기 중으로 흡수가 되지 않아 더 자주 발생 합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던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가습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 습도를 올려주세요.

가습기도 괜찮고, 젖은 수건을 걸어 두셔도 좋습니다.

 

습도는 40-60%가 유지 되게끔 하는게 좋습니다.

감기 예방에도 습도 조절은 중요한 요소이니 주변 환경 습도를 조절 해보세요.

 

 

- 세탁기 사용 시, 베이킹 소다 넣기

 

드라이 전용 옷은 제외를 하고 제품의 택에 보면 세탁기가 사용 가능한 옷일 경우라면

베이키 소다를 넣고 세탁을 하면 정전기를 없애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건조기 사용시 빠싹 말리지 않기

 

요즘은 대부분 건조기를 사용하실 텐데요.

옷 사이에서 유독 정전기가 많이 발생 한다면 건조 시간을 조금 줄여보세요.

 

- 보습제 사용하기

 

물을 뿌리거나, 보습제를 손에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물론 핸드크림도 좋습니다.

 

옷에는 향이 베기 때문에 물을 뿌려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드라이 크리닝 전용 옷은 주의 해주셔야 합니다.

 

세탁을 하는게 까다롭거나 어렵지 않은 옷들은 건조 후에

보습제를 살짝 손에 바른 뒤 겉면에 부분적으로 발라줘도 효과적입니다.

 

- 섬유의 재질 확인하기

 

아무래도 니트나 폴리에스테르에서 정전기가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전압은 3700V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폴리에스테르류의 전압은 12900V로 3배 정도 높습니다.

 

최대한 면 종류로 된 재질의 옷을 입으시면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 정전기를 다른 전도체에 흘리기

 

전기는 갑작스럽게 다른 전도체로 옮겨가면서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전기가 잘 통할만한 금속류를 한번씩 만져주거나 쓸어주면 그걸 통해 빠져나가게 됩니다.

 

겨울철에 언제나 찾아오는 전정기!

핸드크림도 챙기고 다니시면서 자주 발라주시는 것도 아주 좋아요.

 

따끔 따금 정전기를 조금이나마 없애는 방법을 소개 해드렸으니

길에서 갑자기 정전기로 놀래시는 일 없도록 해봐요!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