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인의 수면 부족 문제!
늦게 잠이 들거나 별다른 이유 없이 잠을 설친 경우 등 많은 이유로 인해 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자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경우 다음 날, 일상에 지장을 줄 만큼 계속해서 졸리게 됩니다.
하품은 계속 나오고, 눈은 꾸벅 꾸벅 무겁게 감기고 졸음이 달아나지 않게 됩니다.
피로함은 물론, 업무에 집중을 할 수 없어 방해가 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쏟아지는 졸음을 억지로 버티느라 고생 하시는 분들을 위해 졸릴 때 잠 깨는 방법을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1. 세수하기
고전적이면서 간단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효과 또한 좋습니다.
차가운 물이 피부에 닿으면서 순간적으로 혈관이 수축되고 뇌가 각성 작용을 일으킵니다.
여기서, 머리까지 감으면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라면 머리까지 감는건 어려울테니 간단한 세수가 좋을 거 같습니다.
2. 삶은 계란 먹기
당이 떨어지게 되면 보통 사탕이나 초콜렛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보다 더 좋은 것이 바로 삶은 계란입니다.
특히, 계란의 흰자 단백질은 수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밤에 흰자를 먹는 걸 자제 하면 좋은 숙면을 취할 수 있겠죠?
3. 환기 시키기
사람들이 몰려 있을 때,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아지면서 피곤하고 졸리게 됩니다.
이럴 경우 중간 중간에 한 번씩 창문이나 문을 열어 공기를 순환 시켜주면 좋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 뿐만 아니라 정신이 맑아지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양치하기
치약엔에는 보통 멘톨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시원하고 청량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잠을 쫓아내는데 도움이 됩니다.
칫솔질을 해서 잇몸에 자극을 주면 졸음을 쫓아내는데 더 좋습니다.
양치 뿐 아니라, 가글 역시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껌 씹기
껌을 씹는 행위는 저작 운동의 일부로 각성 효과와 더불어 뇌를 자극하며 기능의 활성화를 일으키며 집중력을 높여줍니다.
그래서 스포츠 선수들이 껌을 씹는 장면을 종종 접하게 되며, 많은 사람들이 공부 할 때 껌을 씹곤 합니다.
여기서 멘톨이나 페퍼민트가 함유가 된 껌을 씹으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6. 스트레칭 하기
몸을 움직여주면 잠을 쫓아내는데 좋기에 스트레칭을 해주면 좋습니다.
굳은 몸을 풀어주고 가벼워질 수 있으며, 머리도 맑아지니 잠이 올 때 종종 해주면 좋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간단하게 스트레칭을 해주면 잠을 조금 더 빨리 깰 수 있다고 하네요.
7. 산책하기
두뇌가 쉬지 않고 움직이게 되면 다른 때 보가 더 빨리 지치게 됩니다.
이럴수록 아무런 생각 없이 산책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잠시나마 뇌에게 휴식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잠도 깰 수 있고, 피로감도 조금이나 덜어낼 수 있습니다.
산책을 하며 햇빛을 쬐면 비타민 D가 생성 됩니다.
칼슘이 뼈에 흡수 되게 도와주며 피로를 회복 시키는데도 도움을 줍니다.
또한 햇빛을 쬐면 뇌의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이 많아지면서 우울증을 극복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석 이조의 효과겠지요?
8. 지압 해주기
눈썹 앞머리 부분부터 관자놀이 부근까지 지압을 해줍니다.
귀를 잡아 당기거나 반으로 접어 마사지 해줍니다.
여기서 정수리 부분을 툭툭 치면서 마무리 해주면 눈을 맑게 해주고 잠을 이겨낼 수 있는 활기가 생깁니다.
아무래도 밤에 충분한 잠을 자는게 가장 좋겠죠?
하지만 잘 때 조금 자더라도 바른 자세로 자는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합니다.
보통 사람들이 본인이 누워 있을 때 편하게 느껴지는 자세가 좋은 자세라고 판단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평소 새우잠을 자거나 엎드려서 잠을 자면 신체에 부담을 느끼고 숙면에 방해가 됩니다.
잘 때에는 천장을 바라본 상태에서 신에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숙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면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고 질병에 쉽게 노출 된다고 합니다.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존재 하듯이 숙면을 취하셔서 건강 챙기시길 바랍니다.
저는 보통 졸리면 커피를 마시곤 했었는데, 너무 많이 마셔 카페인으로 인해 밤에 잠이 안 오더라구요.
그래서 다음날 다시 피곤하고 졸린 패턴이 반복 되곤 했었는데 이 8가지 방법을 섞어서 사용했더니 더 좋았어요!
개인적으로는 앙치하기가 효과가 좋았더라구요. 여러가지 시도 하셔서 자신에게 맞는 잠 깨는 방법 찾아보세요~
'건강관리 > 질병과 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소화 불량 신호 알아보기 (0) | 2020.11.11 |
---|---|
전기 절약 방법 7가지 (0) | 2020.11.06 |
내 몸의 노폐물, 독소 빼는 방법 (0) | 2020.11.04 |
폐렴 증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0.10.26 |
백색증은 멜라닌 합성의 결핍, 원인과 증상은? (0) | 2020.09.17 |
댓글